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제 심리학-네번째

by 꿀정보다모아 2023. 4. 13.

 

쉽게 익숙해지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것의 차이는 왜 일어나게 될까요?

예를 들어, 물이 담긴 용기에 개구리를 넣고 열을 가하는 실험이 있습니다.

처음부터 뜨거운 물에 넣으면 개구리는 바로 탈출을 감행할 것입니다. 그렇지만 실온의 물에 넣고 서서히 물을 가열한다면 온도를 올리더라도 개구리는 별다른 모습을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다가 뜨거운 물 속에서 죽음을 맞게 됩니다. 이 실험은 적응할 것인가? 안주할 것인가? 을 이야기하게 될 때면 인용되는 이야기 중 하나입니다.

요즘 치킨 가격을 한 번에 많은 수준으로 올려버려서 부담되는 이야기들이 종종 들립니다. 마케팅 전문가들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격 인상과 같은 정책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 소비자가 자연스럽게 적응할 수 있다고 적응합니다. 바로 위의 예시처럼 말입니다.

 인간의 가장 특징적인 능력으로 '신체 적응력'을 들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은 냄새와 질감, 온도, 소음 등이 변화에 높은 수준의 적응력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금세 변화를 받아들이고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합니다. 그렇지만 인간의 인지능력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주위의 모든 것을 인지하기에는 어렵습니다. 신체 적응력은 필터의 역활을 하여 중요한 변화에만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고 그 다양한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대한 대응을 적절히 하게 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고통에서 배운다.

 

우리 몸은 고통에도 적응을 빨리하는 편입니다.

하나의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된다면 우리는 일상생활의 대부분을 포기하고 힘들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심리적으로도 불안해지게 되며 자신이 매우 비참해지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게 될 것입니다. 이런 순간일수록 적응력을 간과해서는 안 되고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고 삶의 방식을 바꾸어야 하고 거기에서도 즐거움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프랭크 교수는 이스라엘에서 군 복무 중 지뢰로 인해 두 다리를 잃게 되는 일을 겪었습니다. 큰 고통을 겪게 되었습니다. 그때의 기억이 남아서인지 치과 치료를 받는 중에도 마취 없이 드릴링하였습니다. 극심한 고통에 오래 노출되었는 과거의 경험 때문에 현재 받는 치료들은 별 무리 없이 하는 것인지 궁금하게 되었습니다.

실험을 하나 진행하게 되는 데 과거에 교수들과 비슷하게 신체를 많이 다친 무리를 모집하였습니다.

두 부류로 나누고 한쪽은 경미한 부상 그룹, 한쪽은 신체적 손상이 많은 그룹이었습니다. 실험은 섭씨48도씨가 담긴 물에 손을 담그고 뜨거운 느낌이 들면 빼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경미한 부상을 입은 그룹은 평균 4.5초만에 손을 뺐지만 심각한 부상을 입은 그룹의 사람은 10초 만에 고통을 느꼈습니다. 실험의 결론은 심각한 부상을 가진 사람들은 고통스러운 치료과정을 거치면서 고통에 대한 내성도 같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실험으로 정확한 결론을 낼수는 없지만 신체적 부상을 입었던 사람들이 겪은 고통의 차이가 사람마다 고통내성이 다른 이유를 나타낼 수 있는 단서로 보입니다.

 

 

 

행복의 본질은 쾌락에 있다.

 

쾌락에 대한 적응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 새집에 이사를 가게 되면 인테리어한 어떤 부분에 대해서는 아주 만족할 수도 있고, 또 다른 면을 봤을 때는 실망하고 화를 내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몇 달이 지나게 되면 이런 감정들은 없어지며 무덤덤하게 될 것입니다. 이것을 감정의 평형화 즉 '쾌락에 대한 적응'이라고 합니다.

월급을 예로 들면 현재 월급이 얼마든 상관없이 월급이 내리면 분노하고, 반대로 오르면 기뻐하게 됩니다.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로미오가 처음 사랑한 여성은 로잘린입니다. 그녀가 로미오의 마음을 받아주지 않자 로미오는 세상이 다 끝난 것 같은 절망감을 느끼게 되었고, 잠도 제대로 자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로미오의 사촌이 와서 그에게 지금까지 있었던 일을 털어놓게 됩니다. 하지만 그날 밤에 로미오는 줄리엣을 만나게 되고, 로잘린에 대한 자신의 사랑은 순식간에 잊어버리고 말게 됩니다. 현실 세계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두고 이같이 변심하는 경우가 나타나는 것은 드물겠지만, 상처받은 마음이 회복되는 속도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빠릅니다.

이와 관련해 대학교수들은 연인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처음에 이들은 학생들에게 지금 사귀고 있는 연인과 이별하게 된다면 어떤 느낌이 들지 물어보았고, 대부분의 학생은 로잘린의 사랑을 얻지 못한 로미오와 같은 느낌을 받을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38주의 실험기간 동안 실제로 연인과 이별을 경험한 학생들도 있었습니다. 교수들은 그들에게 어떤 심정인지 물어보았고 초기의 대답과 어떻게 달라졌는지 비교해 보았습니다. 그 결과, 연인과의 이별은 학생들이 처음에 예상한 것만큼 크게 절망적인 것도 아니었고, 이별로 인한 슬픈 감정의 유효기간도 예상보다 훨씬 짧았습니다. 이별의 고통이 슬프긴 하지만 극적일 정도로 괴롭게 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실험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행복감에서도 우리의 예상은 빗나가기 마련입니다. 이제 막 결혼식을 마치고 신혼여행의 달콤함을 맛보려는 부부에게 나중에 이혼하게 되면 어떤 기분이 들지 물어본다면 인생이 다 끝나버린 기분일 거라고 말할 것입니다. 이러한 결론을 가지고 결혼생활과 사회생활을 권하기는 어려운 것입니다. 그런 일이 일어나더라도 우리는 새로운 상황에 적응할 것이고 삶은 계속될 것입니다. 또한 그러는 사이에 새로운 일들이 펼쳐질 것입니다.